본문 바로가기
심리학

[전공/심리학원론] 4장_ 감각과정

by 고요즘 goyosm 2021. 4. 7.

 

1. 감각 양상의 특징

 

- 감각은 전통적으로 4개가 있음 = 시각, 청각, 후각, 미각

- 여기에 압력, 온도, 고통을 느끼는 '촉각'이 추가되고, 마지막으로 '신체감각'이 추가됨

 

- 감각 :  단순한 자극과 연합된 심리적 경험이며, 의미적인 어떤 것과는 아직 연합되어 있지 않음 

 

- 모든 감각에 있어서 두 종류의 역치 민감도를 정의할 수 있음 

   1) 절대역치 : 감각기관에 의해 탐지 가능한 최소량의 자극  에너지 /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방법 

   2) 차이역치= 최소가지차이(jnd) : 감각기관에 의해 구분 가능한 두 자극 사이의 최소 차이. 

       *감지하는 데 필요한 차이는 자극 강도에 따라 증가하며, 대략 자극 강도에 비례함 (베버-페히너 법칙)

 

- 정신물리함수 (psychophysical function) : 역치 이상의 자극에 대해서 자극 강도와 감각 강도의 관계를 기술

- 지각된 자극의 크기는 자극의 물리적 크기의 파워 함수임 (스티븐슨의 파워함수)

- ex 1. 소리 크기의 경우 지수가 1.0 보다 작은데, 곡선이 처음에는 급격하게 상승하다가 나중에는 완만하게 상승

  ex 2. 통증은 지수가 1.0 보다 큰데, 곡선이 처음에는 완만하게 상승하다가 나중에는 급격하게 상승함

 

- 감각 : 소음 속에 묻혀 있는 신호를 탐지하는 과정

- 오경보 : 경우에 따라서는 소음밖에 없는데도 신호가 탐지 될 수 있음

- 적중 : 제시된 신호를 올바르게 탐지하는 것

- 적중과 오경보의 차이 : 자극이 감각기관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가르키는 '측정치'로 간주 할 수  있음

  1) 적중률 > 오경보율 : 신호를 탐지한다고 볼 수 있음 / 크게 초과할대 민감도가 높다고 추론

  2) 적중률 < 오경보율 : 민감도가 낮다고 추론

 

- 신호탐지이론의 사용은 자극을 탐지하는 과정을 2개의 숫자로 봄 

 1) 자극에 대한 민감도 

2) '신호 출현'에 대한 반응 편향을 나타냄

 

- 감각 양상은 자극으로 주어진 물리적 에너지를 신경충격으로 재부호화하거나 변화해야 함 

- 부호화의 특성은 감각양상마다 다르지만 여러 질적 특징과 함게 자극 강도를 부호화함

 

 

2. 시각 

 

<빛과 소리에서의 물리와 심리>

자극 물리적 속성 측정 단위 심리 경험
파장 나노미터 색상
강도 광자 명도
순도 회색수준 도채도
소리 주파수 헤르츠 높이
소리 진폭 데시벨 크기
리소리 복합음 배음 음색

- 시각을 위한 자극은 빛이며, 빛의 파장은 400~700nm의 전자기파임

- 시각을 위한 변환시스템은 망막에 있는 시각 수용기로 구성 

- 망막 : 안구의 뒤족에 위치 

- 시각수용기 : 간상체와 원추체 -> 넓게 분포되어 잇음 

* 간상체는 색채에 민감하지 않고 미세한 특징에도 민감하지 않음

   but 아주약한 빛도 찾아낼 수 있으며 조명이 낮은 곳에서 사물을 보는데 사용됨 

* 원추체 : 파랑원추체 / 초록원추체 / 빨강원추체 세 종류가 있으며, 민감하게 반응하는 파장이 서로 다름

-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은 서로 다른 색채 감각을 이끌어냄 

 

- 색채시는 삼원색 이론에 의해 설명 , 이 이론은 색채의 지각이 세 종류 원추체의 활동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

 

- 시력 : 미세한 부분을 분간할 수 있는 능력 

- 원추체는 망막의 좁은 영역에 집중되어 있어서 고도의 시력을 가지고 있으나, 간상체는 높은 시력을 가지고 있지 않음

 

-네 종류의 기본적 색채 감각 : 빨강, 노랑, 초록, 파랑 

- 대립색채 이론 : 빨강-초록 과정과 노랑-파랑 과정이 별개로 존재하며, 각각의 과정은 2개의 대립색채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반응 

- 삼원색 이론대립색채 이론은 성공적으로 결합되었는데, 두 이론은 시각체계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 

 

3.  청각

- 청각을 위한 자극은 기압 변화의 파 (음파)

 

- : 외이 (귓바퀴와 이도) / 중이 (고막과 일련의 소골) / 내이 (안에 와우각이 있음)

* 와우각 : 코일처럼 생긴 튜브로 안에 기저막들이 들어 있음 

* 기저막 위에는 소리의 수용기인 유모세포가 있음 

 

- 음파 : 외의와 중이에 의해 변환되며, 기저막을 진동시키고, 이는 유모세포를 굴절시켜 신경충격을 만들어냄

- 소리 크기 : 음파의 크기, 음파의 최저압과 최고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됨

 

- 음고 : 소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음파의 주파수에 의해 결정됨 (주파수가 증가하면 높아짐 )

* 동시에 발생하는 두 높이를 우리가 들을 수 있다는 사실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 반응하는 수용기의 존재를 시사함 

 

- 음고 지각의 두 이론 : 시간 이론, 장소 이론

  1) 시간이론 : 소리 높이는 청각체계의 신경반응의 시간적 패턴에 의존하고, 신경반응은 음파의 시간적 패턴에 의해 결정

  2) 장소이론 : 각 주파수는 기저막의 특정한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더 자극하며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어느 부위의 운동이 최대였는가가 우리에게 들리는 소리 높이를 결정

>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, 시간 이론은 저주파의 지각을 설명하고, 장소이론은 고주파의 지각을 잘 설명함  

 

4, 다른 감각 (후각, 미각, 압각과 온각, 통각)

 

- 후각 :후각자극은 어떤 물질로부터 나온 분자이며, 그것은 공기중을 통과하여 비강의 위쪽에 위치한 후각수용기를 활성화함 

- 미각 :미각 자극은 침에 녹을 수 있는 물질, 많은 수용기가 혀 위에 묶음(미뢰)를 이루어 나타남 

* 4개의 기본 맛 : 단맛, 신맛, 짠맛, 쓴맛의 조화로 기술 할 수 있음

 

- 압각과 온각 : 피부 감각의 두 가지. 압력에 대한 민감도는 입술, 코, 뺨에서 최고이고 엄지발가락에서 최저 

- 우리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섭씨 1도 이하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음 

- 우리는 서로 다른 온도를 주로 온각수용기가 활성화는가, 냉각수용기가 활성화되는가에 의해서 부호화 

 

- 조직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을 만큼 강한 모든 자극은 통각자극이 됨

- 위장성 통증 : 짧고 그 강도가 급히 상승했다가 급히 하강

- 긴장성 통증 : 오래 지속되며 꾸준한 강도를 유지

- 고통에 대한 민감도는 유해 자극 이외에 다른 요인, 예를 들어 기대와 문화적 신념에 의해 크게 영향 받음

 

<앳킨슨과 힐가드의 심리학 원론 (제 16판)> 을 참조하여 작성함

 

댓글